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 Node express
npm init
npm 프로젝트 폴더를 만들고 그곳에서 npm init 명령어를 사용해서 package.json을 작성해줍니다.
그냥 엔터 계속 누르면 작성됩니다.
npm install express --save
express를 설치해줍니다.
app.js라는 파일을 만들어서
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const app = express()
const port = 3000
app.get('/', (req, res) => {
res.send('Hello World!')
})
app.listen(port, () => {
console.log(`Server start in http://localhost:${port}`)
})
위 코드를 작성하고
node app.js
서버를 실행해주면
명령어 실행에 성공할 때 나오는 메시지가 나오면서 해당 URL로 이동해보면
서버가 잘 실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MongoDB 연동
npm install mongodb --save
위의 코드로 mongodb를 설치해줍니다.
const mongodb = require('mongodb');
const MongoClient = mongodb.MongoClient;
const url = 'mongodb+srv://kihyun1998:<password>>@mycluster.d3wts6z.mongodb.net/?retryWrites=true&w=majority'
MongoClient.connect(url)
.then(client => {
console.log('mongo connected');
console.log(client);
})
.catch(err => console.log(err));
제 mongodb 계정 명이 kihyun1998이라 저렇게 적혀있습니다. 그 뒤에는 비밀번호를 적으시면 됩니다.
저 URL은 전 게시물에 올렸습니다. 간단하니 한 번 확인해보시면 되구
위의 js코드는 express 서버 코드 밑에 같이 썼습니다.
실행해보면 이렇게 Node 서버와 DB 연동됐다는 메시지가 같이 나옵니다.
npm install ejs --save
npm install dotenv --save
728x90
반응형
'웹 개발 > 프로젝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 크롤링 프로젝트] 05. Fast API 도커 배포 - 1 (FastAPI 시작하기 수정) (1) | 2022.11.25 |
---|---|
[웹 크롤링 프로젝트] 04. AWS EC2 서버 사용하기 (0) | 2022.11.15 |
[웹 크롤링 프로젝트] 03. Fast API 시작하기 (0) | 2022.11.15 |
[웹 크롤링 프로젝트] 02. 웹 크롤링 데이터 MongoDB에 저장 (0) | 2022.09.30 |
[웹 크롤링 프로젝트] 01. MongoDB 사용법 (1) | 2022.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