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ongo DB
기존 데이터 베이스는 정형 데이터만 저장할 수 있지만
Mongo DB는 No-SQL이라고 해서 데이터베이스 형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아닌
딕셔너리 형태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DB입니다.
그래서 정형 데이터, 비정형 데이터 모두 자유롭게 저장할 수 있습니다.
🙆♂️ 시작하기 - Project 만들기
Atals를 사용해서 DB를 cloud형태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https://account.mongodb.com/account/register
위의 링크에서 구글 계정으로 Atlas에 가입을 하고
위 링크를 통해서 들어가면
이런 설정 공간이 나옵니다. (저는 예전에 한번 해봤었습니다.)
(그래서 처음하시면 organization을 만들어줘야 합니다.)
좌측 위의 톱니바퀴를 통해서 organization 설정에 들어갑니다.
(이 설정 버튼이 안나온다면 먼저 organization을 생성해줍니다.
들어가서 Projects탭에서 New Project를 클릭
이름을 설정하고 패스
추가할 멤버가 없다면 Create Project를 누릅니다.
🙆♂️ 시작하기 - Cluster 만들기
좌측 상단 폴더모양을 보면 WebCrawl이라는 프로젝트가 만들어진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이제 가운데에 있는 Build a Database를 눌러서
무료를 사용합니다.
세부설정에 aws, Seoul을 선택해주고
이제 밑으로 내려서 Craete Clustor 해줍니다.
Database 탭에서 보면 myCluster가 만들어져 있습니다.
Connect버튼을 눌르고 나오는 창에서
1번 지문인 Add a connection IP address에 대한 답변으로 맨 오른쪽에 있는
Allow Access from Anywhere를 선택하면
이렇게 바뀌어서 나오게 됩니다. 여기서 그냥 Add IP Address를 누릅니다.
user 정보에 대한 부분은 이런식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근데 안된다고해서 다른 비밀번호를 했습니다.
초기 설정은 끝났습니다.
'웹 개발 > 프로젝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 크롤링 프로젝트] 05. Fast API 도커 배포 - 1 (FastAPI 시작하기 수정) (1) | 2022.11.25 |
---|---|
[웹 크롤링 프로젝트] 04. AWS EC2 서버 사용하기 (0) | 2022.11.15 |
[웹 크롤링 프로젝트] 03. Fast API 시작하기 (0) | 2022.11.15 |
[웹 크롤링 프로젝트] 03. Node Express 서버 구축 및 DB 연동 (0) | 2022.10.19 |
[웹 크롤링 프로젝트] 02. 웹 크롤링 데이터 MongoDB에 저장 (0) | 2022.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