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python 105

[백준][Python] 2108. 통계학

🙆‍♂️문제 🙋‍♂️풀이 문제 그대로 첫째 줄에는 산술평균(일반적인 평균)을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 둘째 줄에서는 중앙값 셋째 줄에서는 최빈값(가장 많이 나타나는 값) 넷째 줄에서는 범위(최대값 - 최소값)을 출력하면 됩니다. 🚀 입력받기 import sys n= int(sys.stdin.readline()) arr = [int(sys.stdin.readline()) for _ in range(n)] sys 라이브러리를 import하여 빠르게 입력받습니다. 🚀 산술평균 출력 average = round(sum(arr)/n) print(average) 평균은 구하기 쉽습니다. 모두 합한 값을 입력 갯수로 나누고 round함수를 통해 반올림 합니다. 🚀 중앙값 출력 arr.sort() mid = n//..

[백준][Python] 10989. 수 정렬하기 3

🙆‍♂️문제 🙋‍♂️풀이 이번 문제는 계수 정렬을 활용해서 푸는 문제입니다. 🚀 입력받기 import sys n= int(sys.stdin.readline()) arr = [int(sys.stdin.readline())for _ in range(n)] sys 라이브러리를 import 하여 더 빠르게 입력되어서 시간 초과가 되지 않도록 했습니다. 🚀 계수 정렬 def countSort(arr): length = len(arr) minNum = min(arr) maxNum = max(arr) #카운팅 배열 구하기 alpha = maxNum - minNum + 1 cntArr = [0]*alpha for i in arr: j = i - minNum cntArr[j]+=1 #누적 카운팅 배열 구하기 accArr..

[백준][Python] 2751. 수 정렬하기 2

🙆‍♂️문제 🙋‍♂️풀이 사실 그냥 sort함수를 사용해도 됩니다. 🚀 입력받기 import sys n= int(sys.stdin.readline()) arr = [int(sys.stdin.readline())for _ in range(n)] sys 라이브러리를 import 하여 더 빠르게 입력되어서 시간 초과가 되지 않도록 했습니다. 🚀 sort 함수 사용 arr.sort() 이렇게 배열 뒤에 .sort()를 해주면 해당 배열 값들이 오름차순으로 정렬됩니다. 🚀 출력하기 for i in arr: print(i) 반복문을 사용하여 배열의 요소들을 출력해줍니다.

[백준][Python] 2750. 수 정렬하기

🙆‍♂️문제 🙋‍♂️풀이 간단하게 버블정렬로 풀어보겠습니다. 🚀 입력받기 n= int(input()) arr = [int(input())for _ in range(n)] 숫자 개수인 n을 먼저 입력받고 n만큼의 요소를 갖고 있는 배열을 입력받습니다. 🚀 버블 정렬 def bubble(arr): for i in range(len(arr)-1): for j in range(i+1,len(arr)): if arr[i]>arr[j]: tmp = arr[i] arr[i]=arr[j] arr[j]=tmp return arr sortArr=bubble(arr) 버블 정렬 함수를 만들어서 함수 호출을 했습니다. 🚀 출력하기 for i in sortArr: print(i) 정렬된 배열을 for문을 사용하여 출력합니다.

[백준][Python] 1436. 영화감독 숌

🙆‍♂️문제 🙋‍♂️풀이 문제 요약 : 자연수 N을 입력받으면 숫자 666이 들어간 수 중 가장 작은 수부터 N번째로 작은 숫자를 출력하면 된다. 666이 첫 번째 1666이 두 번째... 🚀 입력받기 n=int(input()) 간단하게 숫자 하나를 입력받는다. 🚀 경우의 수 탐색 이 숫자에는 패턴이 있다. [0~9]666 다음은 [0]666[0~9],[1]666[0~9] ... 이런식으로 가다가 [0]666[0][0~9],[0]666[1][0~9] 이런식으로 패턴이 있다. 설명을 잘 못해가지구 코드를 보면 바로 이해가 되실겁니다. movie=[] for i in range(10): for j in range(10): for k in range(10): for q in range(10): case1=[i..

[백준][Python] 1018. 체스판 다시 칠하기

🙆‍♂️문제 🙋‍♂️풀이 약간 끔찍해보이지만 침착하게 문제 요약 : 먼저 체스판의 규격을 입력받습니다.그리고 체스판이 입력되는데 W와 B로 표현됩니다. 이 때 임의의 8x8 체스판을 뽑아 체스판 규칙에 맞지 않는 (다시 색을 칠해야 하는) 부분의 최소의 수를 구해야 합니다. 🚀 입력받기 n,m = map(int,input().split()) chess=[list(input()) for _ in range(n)] 먼저 체스판의 n x m 규격을 입력받습니다. 그리고 체스판의 모양을 입력받는데 2차원 리스트로 입력받습니다. 🚀 8x8 올바른 체스판 startW=[];startB=[] for i in range(8): startW.append([]) startB.append([]) for j in range(..

[백준][Python] 7568. 덩치

🙆‍♂️문제 🙋‍♂️풀이 문제요약 : 덩치 비교 알고리즘을 만드는 것인데, 덩치란 키와 몸무게를 비교했을 때 숫자가 더 높은 사람이 덩치가 큰 사람이 된다. 이 때 비교대상과 비교했을 때 키는 크고 몸무게가 작다면 덩치의 크고 작음을 구분할 수 없기 때문에 그대로 둔다. 사람 수가 입력되고 각각의 몸무게와 키가 입력된다. 이 때 1번 사람보다 덩치가 큰사람의 수를 k명이라고 하면 1번의 덩치 등수는 1+k다 각 사람의 등수를 구해라. 🚀입력받기 n = int(input()) bulk = [list(map(int, input().split())) for _ in range(n)] 먼저 케이스 수를 입력받고 각 케이스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다. 각 케이스에 대한 정보는 2차원 리스트로 입력받는다. win=[..

[백준][Python] 2231. 분해합

🙆‍♂️문제 🙋‍♂️풀이 문제 요약 : 어떤 자연수 M이 있다면 M=245라고 가정했을 때 각 자리수의 합(245+2+4+5=256)을 분해합이라고 한다. 이 때 자연수 M을 분해합 N(256)의 생성자라고 한다. 분해합 N이 주어졌을 때 M이 될 수 있는 가장 작은 수를 찾아라. 🚀입력받기 n = int(input()) int형 값을 하나 입력 받습니다. 🚀 생성자 찾아서 배열에 넣기 decomDiv=[] decomDiv.extend(str(n)) 먼저 입력받은 값이 몇자리 수인지 구하는 배열을 만듭니다. extend를 활용하여 1000이 입력되면 ["1","0","0","0"]이 배열에 입력되어서 4자리 수 임을 알게 됩니다. 자리 수를 체크하는 이유는 생성자를 구하는 최고의 경우의 수가 자리 수마다..

[백준][Python] 2798번. 블랙잭

🙆‍♂️문제 🙋‍♂️풀이 문제요약 : N장의 숫자 카드 중 M을 넘지 않으면서 M에 최대한 가까운 카드 3장의 합을 출력! 입력 값으로는 카드의 개수 N과 제한 값 M이 첫줄에 주어지고 둘째 줄에는 N개의 카드 숫자들이 주어진다. 🚀입력받기 n,m = map(int,input().split()) card = list(map(int, input().split())) n에는 카드 수 m에는 제한 값 그리고 card 배열안에 카드 숫자들을 입력받았습니다. 🚀 제한 값을 넘지않는 값 배열에 넣기 win = [] for i in range(len(card)-2): for j in range(i+1,len(card)-1): for k in range(J+1,len(card)): add = card[i]+card[j..

[코드업][그리디][파이썬] 3120. 리모컨

🙆‍♂️문제 🙋‍♂️풀이 그리디 알고리즘을 사용하기 좋은 문제입니다. 온도를 변경하기 위한 최소 횟수를 구하는 것입니다. #입력 받기 a,b=map(int, input().split()) cnt = 0 #경우의 수 분류 arr1=[1,5] arr2=[2,4,6,9] arr3=[3,7,8] minus=abs(b-a) div = minus//10 mdl = minus%10 cnt += div if mdl in arr1: cnt+=1 elif mdl in arr2: cnt+=2 elif mdl in arr3: cnt+=3 print(cnt) 먼저는 생각할 수 있는 것이 움직여야 하는 온도를 10을 나눴을 때 몫으로 10도 위아래 움직이는 것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것이 div에 저장되고 이제 5도 움직이는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