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186

[백준][Python] 2751. 수 정렬하기 2

🙆‍♂️문제 🙋‍♂️풀이 사실 그냥 sort함수를 사용해도 됩니다. 🚀 입력받기 import sys n= int(sys.stdin.readline()) arr = [int(sys.stdin.readline())for _ in range(n)] sys 라이브러리를 import 하여 더 빠르게 입력되어서 시간 초과가 되지 않도록 했습니다. 🚀 sort 함수 사용 arr.sort() 이렇게 배열 뒤에 .sort()를 해주면 해당 배열 값들이 오름차순으로 정렬됩니다. 🚀 출력하기 for i in arr: print(i) 반복문을 사용하여 배열의 요소들을 출력해줍니다.

[알고리즘][정렬] 병합 정렬 - Merge Sort

🙆‍♂️병합 정렬 병합정렬은 분활하고 정렬하고 합병하는 그런 정렬입니다. 🙋‍♂️방식 먼저 이렇게 배열이 있따면 배열의 길이가 1이 될 때 까지 나눕니다. 그리고 정렬과 합병을 반복하면 됩니다. 시간 복잡도는 O(n log n) 입니다. def merge(arr): if len(arr) == 1: return arr #####나누는 구간##### middle = len(arr)//2 left_arr = arr[:middle] right_arr = arr[middle:] leftArrSort = merge(left_arr) rightArrSort = merge(right_arr) leftIdx = 0 rightIdx = 0 #####합치는 구간##### sortArr = [] while leftIdx < ..

[백준][Python] 2750. 수 정렬하기

🙆‍♂️문제 🙋‍♂️풀이 간단하게 버블정렬로 풀어보겠습니다. 🚀 입력받기 n= int(input()) arr = [int(input())for _ in range(n)] 숫자 개수인 n을 먼저 입력받고 n만큼의 요소를 갖고 있는 배열을 입력받습니다. 🚀 버블 정렬 def bubble(arr): for i in range(len(arr)-1): for j in range(i+1,len(arr)): if arr[i]>arr[j]: tmp = arr[i] arr[i]=arr[j] arr[j]=tmp return arr sortArr=bubble(arr) 버블 정렬 함수를 만들어서 함수 호출을 했습니다. 🚀 출력하기 for i in sortArr: print(i) 정렬된 배열을 for문을 사용하여 출력합니다.

[알고리즘][정렬] 선택 정렬 - Selection Sort

🙆‍♂️선택 정렬 각 칸에 들어갈 요소를 선택해서 정렬하는 방법입니다. 🙋‍♂️방식 arr = [6,4,2,8] 이렇게 배열이 있을 때 오름차순으로 선택정렬을 한다면 #level1 arr = [2,4,6,8] 첫 번째 자리에 들어갈 가장 작은 2와 6을 바꿔줍니다. 그러면 정렬이 완성됩니다. 시간 복잡도는 O(n^2)입니다. 그리고 stable하지 않은 정렬입니다.

[알고리즘][정렬] 삽입 정렬 - Insertion Sort

🙆‍♂️삽입 정렬 삽입 정렬은 앞에서부터 이미 정렬된 요소와 비교하여 자신의 위치에 삽입하는 정렬입니다. 🙋‍♂️방식 arr = [8,6,2,4] 이 배열을 오름차순으로 삽입정렬하려 하면 #level 1 arr = [6,8,2,4] 01. 8과 6을 비교하여 삽입 #level 2 #first arr = [6,2,8,4] #second arr = [2,6,8,4] 02. 2와 8, 2와 6을 비교하면서 적절한 위치에 삽입 #level 3 #first arr = [2,6,4,8] #second arr = [2,4,6,8] 03. 4와 8, 4와 6 4와 2를 비교해서 적절한 위치에 삽입 시간 복잡도는 O(n^2)입니다. 그리고 stable한 정렬입니다. def select(arr): for i in rang..

[알고리즘][정렬] 버블 정렬 - Bubble Sort

🙆‍♂️버블 정렬 서로 인접한 두 원소의 대소를 비교해서 조건에 따라 교환을 수행하여 정렬하는 방법입니다. 직관적인 정렬 방식입니다. 🙋‍♂️방식 a=[7,3,1,6,2] 이렇게 배열이 있을 때 버블 정렬을 사용해서 오름차순 정렬을 한다고 했을 때 a[0]과 a[1]을 비교해서 a[0]의 크기가 작다면 가만히 있고 크다면 a[1]과 자리를 바꿔줍니다. #1단계의 첫 번째 스위칭 a=[3,7,1,6,2] #1단계의 두 번째 스위칭 a=[3,1,7,6,2] #1단계의 세 번째 스위칭 a=[3,1,6,7,2] #1단계의 네 번째 스위칭 a=[3,1,6,2,7] 첫 번째 단계를 수행하면 이런식으로 수행되어 가장 큰 수인 7이 뒤로 옮겨지고 그 다음 계속적으로 수행하면 큰 수 부터 우측에 쌓이게 됩니다. 버블 정..

[백준][Python] 1436. 영화감독 숌

🙆‍♂️문제 🙋‍♂️풀이 문제 요약 : 자연수 N을 입력받으면 숫자 666이 들어간 수 중 가장 작은 수부터 N번째로 작은 숫자를 출력하면 된다. 666이 첫 번째 1666이 두 번째... 🚀 입력받기 n=int(input()) 간단하게 숫자 하나를 입력받는다. 🚀 경우의 수 탐색 이 숫자에는 패턴이 있다. [0~9]666 다음은 [0]666[0~9],[1]666[0~9] ... 이런식으로 가다가 [0]666[0][0~9],[0]666[1][0~9] 이런식으로 패턴이 있다. 설명을 잘 못해가지구 코드를 보면 바로 이해가 되실겁니다. movie=[] for i in range(10): for j in range(10): for k in range(10): for q in range(10): case1=[i..

[백준][Python] 1018. 체스판 다시 칠하기

🙆‍♂️문제 🙋‍♂️풀이 약간 끔찍해보이지만 침착하게 문제 요약 : 먼저 체스판의 규격을 입력받습니다.그리고 체스판이 입력되는데 W와 B로 표현됩니다. 이 때 임의의 8x8 체스판을 뽑아 체스판 규칙에 맞지 않는 (다시 색을 칠해야 하는) 부분의 최소의 수를 구해야 합니다. 🚀 입력받기 n,m = map(int,input().split()) chess=[list(input()) for _ in range(n)] 먼저 체스판의 n x m 규격을 입력받습니다. 그리고 체스판의 모양을 입력받는데 2차원 리스트로 입력받습니다. 🚀 8x8 올바른 체스판 startW=[];startB=[] for i in range(8): startW.append([]) startB.append([]) for j in range(..

[백준][Python] 7568. 덩치

🙆‍♂️문제 🙋‍♂️풀이 문제요약 : 덩치 비교 알고리즘을 만드는 것인데, 덩치란 키와 몸무게를 비교했을 때 숫자가 더 높은 사람이 덩치가 큰 사람이 된다. 이 때 비교대상과 비교했을 때 키는 크고 몸무게가 작다면 덩치의 크고 작음을 구분할 수 없기 때문에 그대로 둔다. 사람 수가 입력되고 각각의 몸무게와 키가 입력된다. 이 때 1번 사람보다 덩치가 큰사람의 수를 k명이라고 하면 1번의 덩치 등수는 1+k다 각 사람의 등수를 구해라. 🚀입력받기 n = int(input()) bulk = [list(map(int, input().split())) for _ in range(n)] 먼저 케이스 수를 입력받고 각 케이스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다. 각 케이스에 대한 정보는 2차원 리스트로 입력받는다. win=[..

[백준][Python] 2231. 분해합

🙆‍♂️문제 🙋‍♂️풀이 문제 요약 : 어떤 자연수 M이 있다면 M=245라고 가정했을 때 각 자리수의 합(245+2+4+5=256)을 분해합이라고 한다. 이 때 자연수 M을 분해합 N(256)의 생성자라고 한다. 분해합 N이 주어졌을 때 M이 될 수 있는 가장 작은 수를 찾아라. 🚀입력받기 n = int(input()) int형 값을 하나 입력 받습니다. 🚀 생성자 찾아서 배열에 넣기 decomDiv=[] decomDiv.extend(str(n)) 먼저 입력받은 값이 몇자리 수인지 구하는 배열을 만듭니다. extend를 활용하여 1000이 입력되면 ["1","0","0","0"]이 배열에 입력되어서 4자리 수 임을 알게 됩니다. 자리 수를 체크하는 이유는 생성자를 구하는 최고의 경우의 수가 자리 수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