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JSX란
JSX는 JavaScript에 XML을 추가 확장한 문법으로 React 프로젝트에서 개발할 때 사용됩니다.
쉽게말하면 JavaScript 안에서 HTML을 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합니다.
🚀className
JSX에서 HTML 처럼 class를 부여하고 CSS를 통해서 스타일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먼저 css파일을 import 하는 법은
이렇게 간단하게 할 수 있습니다.
<header className='header'>
<h3>계산기 앱</h3>
</header>
.header{
display: flex;
background-color: black;
width: 100%;
color: white;
padding-left: 2em;
}
class를 부여할 때 HTML에서는 class = "어쩌구" 로 하지만 JSX에서는 className="어쩌구"로 해야합니다.
React로 잘 적용되는 모습입니다!! 신기하네요.
🚀Data Binding
데이터 바인딩이란 데이터를 HTML에 꽂아 넣는 것입니다.
기존 자바스크립트에서 변수를 찾을 때면
document.getElementeByID("%ID%).innerHTML = 변수
이렇게 길게 코드를 작성해서 HTML 요소에 변수 값을 연동할 수 있었는데
React에서는 아주 간단합니다.
{} 중괄호를 사용해서 그 안에 변수를 넣기만 하면 됩니다.
function App() {
let simple = "간단 계산기";
return (
<div className="App">
<header className='header'>
<h3>계산기 앱</h3>
</header>
<h4>{simple}</h4>
</div>
);
}
이렇게 simple 변수에 값을 넣고 h4 태그에 출력되게 하면
잘 출력됩니다.
재밌는 것이 className과 id에도 변수를 통해서 할 수 있습니다.
🚀style 넣기
<h3 style="color : red">계산기 앱</h3>
보통 HTML 이라면 인라인태그로 style을 줄 때 이렇게 "큰 따옴표" 안에 작성을 합니다.
그러나 React는 그렇게 하면 안됩니다.
<h3 style={{color : 'red'}}>계산기 앱</h3>
이렇게 중괄호 안에 작성을 해야합니다.
{{스타일 이름 : "값", 스타일 이름2 : "값2"}}
이런식으로 작성할 수 있습니다.
주의할 점은 font-size 같이 빼기 표시가 있는 스타일들은
붙여주고 뒤에 글자 첫번째 알파벳을 대문자로 해야합니다.
그래서 fontSize가 됩니다.
728x90
반응형
'웹 개발 > React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act] 05. props (0) | 2022.07.25 |
---|---|
[React] 04. 컴포넌트 - Component (0) | 2022.07.14 |
[React] 03. 버튼 - Button / state 변경(array) (0) | 2022.07.07 |
[React] 02. State 사용 (0) | 2022.07.07 |
[React] 00. React 시작하기부터 VS Code HTML 자동화까지 (0) | 2022.07.06 |